1. 윈도우에서 공유할 폴더를 생성한다.

 

 

2. vm virtualbox 관리자에서 공유폴더를 설정해준다.

    설정 -> 공유폴더 -> 추가 

 

 

3. hamonikr 공유에 연결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4. 터미널을 열어 mount 시킨다.

$ sudo mount -t vboxsf [틀어세 설정한 공유폴더 이름] [hamonikr 에서 만든 공유 연결 폴더 풀 경로]
$ sduo mount -t vboxsf ShareFolder /user/jun/shareFolder

 

mint를 다시 실행 하면 마운트가 해지되어 있어 4번을 반복 해줘야한다..

이럴땐 쉘스크립트를 만들어 구동될때 자동 실행되도록 해주거나...

전원끄기가 아닌 상태저장으로 종료하자. ... ㅡㅡ;;

'linux > hamoniK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저 기본 디렉토리를 영문으로 수정 하기.  (0) 2015.01.14
기본 바탕화면 설정하기  (0) 2015.01.14
로그인 바탕화면 바꾸기.  (0) 2015.01.14
파일 탐색기를 열어보면 유저 폴더에 있는 기본 폴더이름이 한글로 되어 있다...

가끔 한글 폴더명 때문에 어플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윈도우 사용 시 수차례 격어봄) 영문 폴더명으로 변경..


1. 터미널을 연다.

2. vi /home/[사용자이름]/.config/user-dirs.dirs 파일을 연다.

5. 한글로 된 폴더명으로 알맞게 영문으로 교체한다.

5. 저장하고 나온다.

6. 교체한 영문에 맞춰 해당 폴더명도 교체 해준다.

7. 탐색기를 열어 확인해본다.


'linux > hamoniKR'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 virtualbox 공유 폴더 마운트하기.  (0) 2015.01.22
기본 바탕화면 설정하기  (0) 2015.01.14
로그인 바탕화면 바꾸기.  (0) 2015.01.14

화면 보호기 작동 후에 인증화면에 안이뿐 기본 바탕화면이 보여서 바꿔 보기로 결심 ㅡㅡ;;

이번에는 이뿐 수지로.. 



1. 이뿐 수지 이미지를 준비한다.

2. 파일 탐색기를 연다.

3. /usr/share/backgrounds/limuxmint

4. default_background.jpg 파일의 속성 정보를 본다. ( 링크 파일로 실제 파일 위치를 찾아야한다.)

5. 링크 대상을 보면 실제 파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파일 위치를 수정하거나. 원본 파일을 교체하면 된다.)

6. 나는 원본 파일을 교체하기로 결심..

7. 원본 파일이 있는 /usr/share/backgrounds/linuxmint-qiana/  디렉토리를 관리자 권한으로 연다.

8. linux_mint_17_kr.jpg 파일 삭제 후 이뿐 수지 사진이름을 해당 이름으로 변경 후 복사 해주면 완료.

9. 이제 화면 보호기가 작동하기만을 기다린 후 해제하면 수지가 바탕화면에 보이고 잠금을 풀기 위한 인증창이 보이게된다.



hamoniKR 버전 사용중인데 로그인 화면이 너무 칙칙해서 이뿐 손예진 사진으로 바꾸기로 결심..


find / -name *.jpg 로 검색 의심되는 놈을 찾아서 이미지 교체.. 

교체 후 테스트 해보니 백그라운드 이미지에 에니메이션을 걸어놨다. ㅡㅡ;;

해당 스크립트 주석처리 해서 완료..


1. 교체할 이미지 이름을 bg.jpg로 변경.

2. 파일 탐색기 실행.

3. usr/share/mdm/thml-themes/mint-x/ 디렉토리를 관리자 권한으로 오픈

4. bg.jpg 복사 (관리자 권한으로 복사해야함)

5. index.html 을 텍스트 편집기로 오픈

6. 맨 밑줄에 있는 Animation 관련 코드 "//"를 사용하여 주석처리 후 저장.

// Start the background animation (vertical panning)
// animation = new Motio(document.getElementById('background'), { fps: 30, speedY: 30 });
// animation.play(); // Start playing animation

6. 적용 확인 방법 로그아웃을 해보거나. index.html을 파복으로 열어보면 확인 가능.



# 파복으로  오픈하여 확인한 스샷 이미지 (아~~ 코 옆 커서 지못미 ㅡㅡ)


+ Recent posts